분류 전체보기 1065

東湖

東湖 東湖春水碧於藍 동호의 봄 물은 쪽빛보다 푸른데 白鳥分明見兩三 분명하게 보이는 건 백로 두세 마리 柔櫓一聲飛去盡 나지막한 노 소리에 모두 날아가고 夕陽山色滿空潭 석양에 산빛 만이 빈 강에 가득해라 ... 당시 인기시인이었던 정초부(鄭樵夫, 1714-1789)는 여춘영(呂春永, 1734-1812)집의 노비였다. 여춘영은 그의 시재(詩才)를 아깝게 여겨 노비신분을 벗어나게 해주었으며, 평생 시벗이 되어 조선 선비들에게 그의 시를 알려주었다고 한다. 정초부(鄭樵夫)의 詩 는 평기식으로 담운(覃韻)을 사용하고 있다. 정초부는 정씨인 나무꾼으로 나무를 해다 동대문 근처에 팔았다고 한다. 東湖는 호수가 아니라 지금 동호대교가 있는 한강 어디쯤일 것이다. 기승구(起承句)를 보면, 쪽빛보다 푸른 동호의 강물은 백로..

古人論書云

古人論書云 一須人品高 二須師法古 是書之法 學者習之 故當熟之于手 必先修諸德以熟之于身 德而熟之于身 書之于手 如是而爲書焉 -書法三昧 古人이 書에 대해 論하기를 “첫째는 人品이 높아야 하고, 둘째는 古法을 본받아야 하니, 이것이 글을 쓰는 법이요 學書者는 이를 익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마땅히 손에 익숙해야 하지만 반드시 먼저 덕을 닦아 몸에 익숙하도록 해야 한다. 덕을 갖춰 몸에 익숙해지면 그를 손으로 쓰는 것이니 이와 같아야 서법이라 할 것이다.

題伽倻山讀書堂

題伽倻山讀書堂 - 고운 최치원 狂奔疊石吼重巒 층층 바위 내닫는 물 첩첩 산을 울려 人語難分咫尺間 사람들 말 지척 간에 분간키 어려워라. 常恐是非聲到耳 항상 시비(是非) 소리 귀에 듣기 싫어서 ... 故敎流水盡籠山 짐짓 흐르는 물로 산을 온통 에웠구나. 은 平起式으로 산운(刪韻)을 사용하여 가야산(伽倻山) 독서당(讀書堂)에서 쓴 것이다. 광분(狂奔)이라 하면 미치광이처럼 미친 듯이 달려 나가는 것이다. 층층바위 사이로 첩첩이 쌓인 산속에서 사자후를 하듯이 거칠게 물이 흘러가고 있다. 그렇게 물소리가 세게 들리니 지척 간에 있는 사람의 목소리도 들리지 않는다. 그렇다면 과연 무슨 소린들 들을 수 있을까? 시인은 이를 통해 시냇물과 산들의 심정을 이해하기 시작한다. 사람소리가 듣기 싫은가보다. 옳은 것도 그른..

當時痛恨何堪說

다음 詩題는 吟5.18民主化運動40週年으로 부산에서 사시는 山湖 朴泳湖 先生이 광주에서 주최한 한시백일장에 참여하여 지은 詩입니다. ... 憶昔光州襲穢塵 예전 광주에 더러운 일 당했을 때 喊聲憤氣振鄕隣 분기와 함성이 이웃 고을에 떨쳤지. 堅持國紀垂靑史 나라기강 견지함을 청사에 드리웠고 抗拒軍權作白民 군권에 항거함은 백민이 만들었네. 義血無邪能守志 삿됨 없는 의혈로 능히 뜻을 지켰고 靈魂不死竟成仁 영혼은 죽지 않아 결국 인을 이루었다. 當時痛恨何堪說 당시 통한을 어찌 말할 수 있으랴 四十年過萬感伸 사십년을 지나서 만감을 펴본다오.

찬란한 결과

어설픈 시작이 없으면 찬란한 결과 역시 없다. 얼마전 정년을 맞으신 철견 곽노봉교수님의 말씀이다. ... 이제껏 50여권의 저술이 있으니 웬만한 서가들 중에는 그 이름을 모르는 사람이 없다. 사실, 조그만 책자 하나라도 출판하려면 맞춤법이나 조사 어투하나에도 여간 신경이 쓰이는 것이 아닌데 출간한 책이 50여권이니 참으로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수십년간 불퇴전 용맹정진이 있지 않고서는 결코 할 수없는 일이다. 누구나 어설픈 시작이라도 찬란한 결과로 연결될 수 있음을 어느 누가 모르랴? 하지만 오늘 이말이 가슴에 와 닿는 것은 수십년간 끊임없는 정진과 고뇌를 거친 뒤에 비로소 표현된 말이기에......

題德山溪亭柱

題德山溪亭柱 請看千石鍾 청컨대 천석 종을 보라 非大扣無聲 크게 치지 않으면 소리가 없다. 爭似頭流山 우선 두류산과 같은 것은 天鳴猶不鳴 하늘이 울어도 오히려 울지 않는다. ... 은 덕산 계정 기둥에 쓴 것으로 平起式으로 경운(庚韻)을 사용하였다. 우리가 들을 수 있는 것은 한계(限界)가 있다. 너무 크거나 너무 작은 소리는 듣지 못한다. 우리가 평소에 듣는 것은 작은 소리이다. 우주가 움직이는 소리 지구가 회전하는 소리 등과 같은 큰 소리나, 있는 힘껏 두들겨도 울지 않는 큰 종의 존재는 우리가 알지 못한다. 대하무성(大河無聲) 대도무문(大道無門)을 보아도 그렇다. 큰 강물은 소리를 내지 않지만 그 흐름은 막을 수가 없다. 아니 소리가 들리지 않을 뿐이다. 큰 길에는 문이 있을 수가 없다. 사방으로 통..

大巧若拙

대교약졸(大巧若拙)이란 재능이 매우 뛰어난 사람은 그 재능을 쉽게 드러내지도 않고 자랑하지도 않으므로 언뜻 보기에는 도리어 서툰 사람 같아 보인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겉으로 드러나는 단순한 행실만 가지고 사람을 판단하지 않도록 경계하는 말이다. 그런데 이렇게 내 글씨를 드러내니 나는 역시 대교(大巧)의 경지도 졸(拙)의 경지에도 미치기에는 요원한 것 같다. 사실 이 작품은 얼마 후에 개인전을 하며 세상에 공개할 작품이었는데 신종코로나가 극성을 하는 바람에 개인전을 내년으로 연기했으므로 못쓴 글씨나마 정성스럽게 새겨준 한암 조정호선생의 마음에 감사하며 올리는 것이다.